본문 바로가기
  • 디스 앤드 댓 tripper0sim
문화.연예

소 귀에 경 읽기 - 마이동풍 우이독경 대우탄금

by 잡필러 2023. 4. 21.

말 馬, 귀 耳, 동녘 東, 바람風  馬耳東風, 말의 귀에 봄바람이 불어도 전혀 느끼는 낌새가 없다. 

유의어 : 牛耳讀經(소 귀에 경 읽기), 對牛彈琴(소를 위해 거문고 켬)

 

남의 말을 귀담아듣지 않고 흘려버린다는 의미를 가진 고사성어 '마이동풍馬耳東風'은 이백의 「답왕십이한야독작유회 答王十二寒夜獨酌有懷」 시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마이동풍

이백이 왕십이(王十二)가 보낸 「寒夜獨酌有懷」에 답한 긴 문장의 시입니다.

 

君不能貍膏金距學鬪鷄  (군불능리고금거학투계)     

그대는 야비하게 투계의 머리에 승냥이 기름을 바르고

 

坐令鼻息吹虹霓  (좌령비식취홍예)     

발톱에 쇠갈고리를 달고 코로 무지개를 뿜으며 뽐낼 수는 없으리라   

 

君不能學哥舒  (군불능학가서)   

그대는 가서 한장군을 본받아

 

橫行靑海夜帶刀 (횡행청해야대도)   

청해를 횡행하며 밤에도 칼을 차고   

                           

西屠石堡取紫袍 (서도석보취자포)

서쪽으로 석포성을 도륙하여 관직 임명을 받을 수 없으리라. 

 

吟詩作賦北窓裡  (음시작부북창리)   

북쪽 창가에서 시와 부를 지으나

 

萬言不値一杯水  (만언불치일배수)  

긴 글이 한 잔의 물보다 값이 없구나.

 

世人聞此皆掉頭  (세인문차개도두)   

세상 사람들이 우리의 말에 고개를 저으니

 

有如東風射馬耳  (유여동풍사마이)

마이동풍이로구나.

 

이백은 시의 첫머리에 동진의 왕자유(王子猷)가 대안도를 방문한 고사를 이용하여 자신과 왕십이의 고결한 인품과 우정을 우회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어 이백은 현종이 투계를 좋아하여 형편없는 자들이 투계 하나로 임금의 총애를 받아 출세하고, 변방에서 하찮은 공을 세운 자들이 설치고 다니는 현실을 개탄하면서 세상 사람들이 자신들의 말을 귀담아듣지 않고 흘려버리는 것을 슬퍼하면서 마이동풍이라 하였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