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디스 앤드 댓 tripper0sim
반응형
무역거래에 있어 결제방식이란? 무역거래에 있어 결제방식이란 물품대금을 언제 어떤 방식으로 결제하느냐 하는 것이다. 서로 다른 나라에 있는 수출자와 수입자가 어떤 방식으로 물품대금을 결제하느냐 하는 것이 가장 어려운 문제이다. 실제로 거래가 성사 직전까지 이르고서도 서로 간에 결제방식이 맞지 않아서 무산되고 마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무역거래에서 주로 사용하는 결제방식으로는 신용장 결제방식, 전신환 송금방식, 추심 결제방식 등이 있다. 인터넷을 통한 전자결제 방식이 활성화되어 신용장 거래방식의 비중은 첨차 줄어들고 있으며 결제방식 조건에 따른 문제는 많이 해결된 현실이다. 신용장 결제 방식 수출자와 수입자가 각자 거래하는 은행을 통해서 선적서류와 물품대금을 주고받는 방식으로 외국업체들 간의 무역거래에 있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지급.. 2023. 3. 19.
무역거래에 있어 가격조건이란? 무역거래에 있어 가격조건이란 수출자가 제시하는 가격에 어떠한 부대비용까지 포함하느냐 하는 것을 명확히 하기 위한 조건이다. 가격조건에 따라 최종 계약금액이 달라지며 통상적으로는 공급업체에서 가격을 제시할 때 가격조건을 함께 제시한다. 그러나 구매자가 다른 가격조건을 원하면 그에 상응하는 가격으로 조정하게 된다. 수출입 거래에 적용되는 조건은 다양하나 대부분의 경우 EXW, FOB, CRF, CIF 등의 조건이 주로 적용된다. 수입자의 입장에서 볼 때 자체적으로 유리한 해상운임을 적용받을 수 있는 경우에는 EXW이나 FOB 조건을 선호한다. 특별히 거래하는 선박회사나 운송주선업자가 없는 경우에는 CFR이나 CIF 조건으로 계약을 체결한다. CIF 조건이 아닌 경우에는 수입자에게 반드시 해상운송보험에 가입하.. 2023. 3. 19.
신용장(Letter of credit, L/C)이란 무엇인가? 신용장이란 물품의 수출입 대금을 거래 당사자 간에 직접 주고받지 않고 은행을 통해 대금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지급조건을 포함한 모든 거래조건을 명기한 은행의 서식이다. 통상적으로 수입자의 거래은행에서 발급되어 케이블을 통해 수출자의 거래은행으로 보내지며 개설은행에서 대금지급을 보증하게 된다. 수출자는 신용장을 근거로 물건을 조달해서 선적한 후 거래은행에 선적서류를 제시하고 수출대금을 청구하면 되므로 대금회수를 염려할 필요가 없다. 또한 수입자는 미리 돈을 보낼 필요 없이 은행을 통해 신용장만 개설해 놓고 나중에 물건이 도착하면 은행에 대금을 지급하고 선적서류를 받아 물건을 찾으면 된다. 수입자의 거래은행의 입장에서 보면 신용장이 개설된 금액만큼 수입자에게 지급보증을 서는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신용장.. 2023. 3. 19.
카드 포인트 통합조회 계좌입금 서비스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신청방법과 서비스 이용방법 2021년 1월 5일 여신금융협회가 카트포인트 통합조회 계좌이체 시스템의 구축을 완료해 흩어진 카드 포인트를 한 데 모아 내 통장으로 이체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신한카드를 비롯한 11곳의 카드사에서 일괄적으로 카드포인트를 조회하고 현금화할 수 있으며, '1포인트=1원'으로 매겨져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전업 카드사 신한.삼성.현대.롯데.우리.KB국민. 하나.비씨 겸영 카드사 농협. 시티. 우체국 그전에는 여신금융협회의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서비스'를 통해서 카드포인트를 한 번에 조회하기는 가능했지만 포이트를 한 번에 계좌이체하여 현금화하는 것은 불가능했습니다. 이로 인해 소비자가 일일이 카드사에 문의해 포인트를 현금화하는 불편함을 겪어야 했습니다. 카드 .. 2023. 3. 18.
반응형